예술을 통해 교실과 공동체를 연결시키기 : 공동체 기반 예술교육의 설계와 실현을 위한 안내서
Engaging Classrooms and Communities through Art: A Guide to Designing and Implementing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 저자
Beth Krensky : 유타대학 예술교육 교수, 예술가/사회운동가/교육자
Seana Lowe Steffen 콜로라도대학 교수, 공동체비평가
● 출판사 : Altamira Press
● 페이지 : 188쪽
● 출판년도 : 2009년
● 소개
아직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책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공공예술 혹은 공공디자인 정도에 머물고 있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논의 역시 장르 중심의 예술교육 맥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공동체기반예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끌고 가면서 현재 우리 사회의 문화예술교육이 한계에 이르러 있는 탈장르성과 통합성, 지역성과 마을, 그리고 창의성과 공동체성에 대한 참고할만한 방법과 사례를 제시한다. 교사, 마을활동가, 그리고 공공예술가들에게 이 책은 공동체기반예술교육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에 대한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공동체기반예술교육의 이론과 역사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벽화, 무용, 비디오 등 각기 다른 미디어를 사용하는 미국 각지의 다양한 단체와 사례 연구가 포함되어 있는 이 책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분들에게 꽤나 유용한 자극이 될 것이다.
● 목차
Section I. Understanding Community Art
1장. Introduction to Community Art and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2장. The Practice of Community Art: From Setting the Stage to Making Art
3장. The Art Practitioner: Making the most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4장. The Participants: Seeing the Power of Community Art Chapter
5장. The Theory behind the Practice
Section II. Modeling the Practice of Community Art
6장. Murals Chapter
7장. Photography
8장. Graphics in Posters and Billboards
9장. Video
10장. Dance
'넘봄 : 관련서적 / 해외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봄봄이 전하는 최근 경기문화재단 소식 (0) | 2012.11.07 |
---|---|
[책]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 (0) | 2012.11.06 |
경기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소개합니다~! (0) | 2012.10.10 |
전문예술 창작 발표 지원 _ 과학과 예술이 만나서 이루어 지는 예술적 실험 지원 분야 선정작 ‘선사학 ÷ 예술’ (0) | 2012.09.21 |
경기도 미술관 기획전 : 2012 DMZ 평화그림책 프로젝트 DMZ ART + BOOK PROJECT FOR PEACE (2) | 2012.09.21 |
[책 소개]예술을 통해 교실과 공동체를 연결시키기 : 공동체 기반 예술교육의 설계와 실현을 위한 안내서 (0) | 2012.09.11 |